죽음에 대한 이야기

이제 내 나이도 40이다.

대학을 졸업한 지 20년이 훌쩍 지났고, 한참 일할 나이긴 하지만 40이란 숫자가 주는 그 감각은 오묘하다.

난 늙지도 않았지만, 그렇다고 마냥 젊지만은 않은 그런 느낌이다.

내가 자주 나갔던, 지금은 코로나 떄문에 열리지도 않은 복싱 생활 체육대회에도 이제 난 40대부에 나갈 수 있다.

내가 처음 나갔을때가 30대 초반부에 나갔었으니, 시간 참 야속하다란 말이 저절로 나온다.

 

내 아이들이 이제 우리나라 나이로 10살, 8살이다.

오늘 경주 어디에선가 8살 아이가, 딱 우리 첫째 나이의 아이가 놀이기구를 타다가 죽었다.

재미있어 보인다고 언젠가 경주에 놀러가면 아이랑 같이 타야지 했던 놀이기구이다.

이런 뉴스가 보이게 되면, 부모로써 가지는 느낌은 비슷하다.

우리 아이에게 저런 위험한 놀이기구를 타게 하려 했다는 죄책감과 우리 아이가 저 아이가 아니라서 다행이다라는 느낌의 모순이 뒤섞여있다.

정말 그런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는 저런 놀이기구 절대 우리 아이에게 태우지 말아야지 하는 다짐도 함께 딸려온다.

모순덩어리라고 생각했지만 안심이 되었다. 죄책감이 들지만, 속상하지만 안심이었다.

 

그 부모는 어떤 느낌일까. 

그 아이와 함께 탔다던 그 사촌누이는 어떤 기분일까.

내가 그들이었다면 나는 살 수 있을까.

그 죄책감은 어떻게 안고갈 수 있을까.

과연 내가 그들을 우연히 마주치게 된다면 나는 무슨 말을 건내야할까, 그 말은 과연 조금이라도 위로가 될까 하는 가당치도 않은 상상을 한다.

 

내 아이들에게 종종 하는 말이다.

“아빠가 언제 죽을지 모르는데, 아빠가 세상에서 가장 사랑하는게 누구라고? 둘째야?”

“나랑 언니”

“맞어 항상 명심해. 아빠 죽어도 그거 잊어먹으면 안돼”

 

내가 죽음을 처음 피부로 와닿게 느꼈던 건 우리 친할머니가 돌아가시던 그 해다. 내가 8살이었던 해다.

할머니는 온 친척들이 모두 모인 집에서 마지막 순간을 함께하셨다.

다시는 못 만난다는 걸 할머니가 돌아가시던 그 순간 느꼈다.

내가 할머니한테 못되게 굴었던 모습들이 겹치면서 어린 나이에 서럽게 울었던 기억이 난다.

 

내 아이들에게도 그런 순간이 올 것이다.

그때가 언제가 될지 모르겠지만, 나는 그때 우리 아이들에게 무슨 말을 해줄 수 있을지 모르겠다.

우리 아버지는, 아빠는 계속 울었다. 아빠의 엄마가 돌아가셨으니 당연하다.

우리 아이들이 처음 느끼게 되는 죽음이란 감정은 누구일까. 나일까. 누구일까.

그게 누가 될지 모르지만, 그래서 열심히 살아야 된다는 생각은 든다.

 

 

20150326 – 회사에서 글쓰기

#1

오랜만에 블로그에 들어왔더니 호스팅 기간이 만료가 되었다고 한다.

잠깐 쳐다봤다. 억.

꽤 많은 시간동안 까페24와 함께했다. 별다른 요구사항이 없었기에, 별다른 불만도 없었다.

여튼 그래서 바로 결제해서 1년 연장했다.

원래는 도메인도 사려는 원대한 계획이 있었지만, 지금은 그런건 접은지 오래다.

이렇게 글을 소소하게 쓸수나마 있다는 것이 좋을 뿐이다.

 

#2

지금 일하는 곳은 여러가지로 전과는 다른 환경이다.

여러가지 많은걸 느끼게 해준다.

이제 소이가 4월 1일부터 여기 어린이집에 다니게 된다.

난 이제 멍멍멍!

 

#3

언젠가 소이에게도 유년시절을 함께한 뮤지션이 생길테다.

남들도 좋아하는 아티스트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그 뮤지션과 함께 늙어간다는게 참 좋을테지 싶다. 지금 내가 서태지나 여러 뮤지션들을 보면서 느끼는 이 감정을 소이도 나중에 느끼게 하고 싶다.

그때가지 건강하고 밝게 크자. 내 딸.